유재석의 공감 능력은 왜 특별할까? – 사회적 지능의 심리학

“저 사람이 있어서 분위기가 따뜻해졌어.”

이런 말을 듣는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국민 MC, 유재석 씨입니다. 늘 유쾌하고 친절한 모습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그는 왜 그렇게 호감형일까요? 단순한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 그의 ‘공감 능력’‘사회적 지능’이 심리학적으로도 주목할 만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어느 날 ‘유재석은 어떻게 늘 사람들 말을 잘 받아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TV 속 그의 모습은 말하는 이의 의도를 빠르게 파악하고, 적절한 리액션으로 상대방을 편안하게 만들어줍니다. 그건 타고난 성격일 수도 있지만, 심리학적으로 보면 그의 사회적 지능이 굉장히 발달해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 사회적 지능이란?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은 단순히 똑똑함을 뜻하는 IQ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며, 사회적 맥락에서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죠.

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Thorndike)는 이미 1920년에 사회적 지능을 ‘남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유재석의 사례로 본 사회적 지능의 특징

1. 감정 인식 능력

유재석 씨는 게스트가 긴장하거나 불편해하는 순간을 빠르게 눈치챕니다. 그럴 때마다 자연스럽게 화제를 전환하거나, 유머로 분위기를 풀어주는 장면이 많죠.

 

2. 비언어적 신호 파악

말보다 표정, 제스처, 말투를 더 민감하게 읽는 것도 그의 강점입니다. 상대방이 말은 괜찮다고 해도 표정이 굳어 있다면 바로 알아차리고 반응하는 모습은 사회적 지능의 대표적 특징입니다.

3. 관계 유지 능력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과 일하면서도 거의 구설수 없이 관계를 유지한다는 점은, 갈등을 중재하고 타인의 입장을 배려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뜻입니다.

 

4. 연구로 보는 공감과 호감의 상관관계

미국 심리학자 데니얼 골먼(Daniel Goleman)은 『감성지능』에서 공감 능력이 높은 사람이 직장, 사회, 인간관계 전반에서 더 성공한다고 말합니다. 실제로도 높은 공감 능력은 타인에게 ‘신뢰’와 ‘편안함’을 전달하며, 이는 곧 호감과 연결됩니다.

 

★ 누구나 훈련할 수 있을까?

네, 가능합니다. 사회적 지능은 타고난 능력보다도 훈련과 반복을 통해 키울 수 있다는 것이 심리학의 입장입니다. 유재석 씨처럼 되고 싶다면 다음을 실천해보세요.

대화할 때, 상대방의 표정과 말투에 집중해보기

대화 중 ‘내가 말할 차례’보다는 ‘상대가 말한 의미’를 먼저 이해하려 노력하기

잘 모르겠을 땐 “지금 불편하신가요?”처럼 솔직하게 물어보기

 

조금씩 이런 습관을 들이면, 우리도 사회적으로 더 유능하고 따뜻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상처받은 어린 나를 꺼내주세요 – 내면아이와 감정치유의 첫걸음

“나는 여전히 엄마의 허락이 필요하다 – 내면아이와 감정 회복의 심리학”가끔 저는 이런 생각을 합니다.‘내가 지금 이 선택을 해도 괜찮을까?’‘혹시 누가 나를 비난하진 않을까?’그리고

yangtaeng.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