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 보면 뜻대로 안 되는 일이 생기고, 누군가에게 상처받는 날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때마다 감정을 다 표현할 수는 없으니까 우리는 ‘참는 것’을 선택하게 되죠. 문제는 그 감정이 사라지는 게 아니라, 마음 어딘가에 계속 쌓인다는 거예요.
저는 한동안 그런 상태를 ‘감정이 쌓여서 무거운 가방을 메고 다니는 기분’이라고 표현하곤 했어요. 괜찮은 줄 알았는데, 어느 순간 그 감정들이 터져버리고 나서야 ‘아, 내가 참은 게 아니라 쌓였구나’ 하고 깨닫게 되더라고요.
심리학에서는 이런 감정의 축적과 폭발 과정을 감정 억압(emotional suppression) 또는 감정 누적(affective accumulation)이라고 설명합니다. 우리가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눌러둘 때, 그 감정은 사라지지 않고 내면 어딘가에 저장되며, 일정한 임계점을 넘어서면 폭발처럼 터지거나,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하죠.
그래서 저는 이럴 때마다 ‘감정 쓰레기통’을 떠올립니다. 정리되지 않은 감정은 쓰레기처럼 마음 안에 쌓이고, 그걸 버리는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는 뜻이에요.
다행히도, 감정을 쌓아두지 않고 건강하게 정리하는 방법은 심리학적으로도 꽤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습니다.
1. 감정을 ‘명확한 이름’으로 불러주기
슬픔, 분노, 억울함, 당황스러움… 감정을 구체적으로 명명하는 것만으로도 뇌는 감정을 조절할 준비를 합니다. ‘뭐라 설명하긴 힘든데 그냥 기분 나빠’는 감정을 더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어요.
2. 감정을 기록으로 정리하기
일기, 음성 메모, 또는 단순한 키워드 메모도 좋습니다. 기록은 ‘감정과 나 사이의 거리’를 만들어주고, 반복되는 감정 패턴을 알아차리게 도와줍니다.
3. 안전한 관계에서 표현하기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감정을 털어놓는 것은 단순한 배출을 넘어서 심리적 정화작용을 합니다. 물론, 누군가에게 말하는 것이 어렵다면 심리상담이나 자기 대화도 좋은 방법입니다.
감정을 쌓아두는 건 결국 나를 아프게 하는 일입니다. 겉으론 괜찮아 보여도, 그 무게는 고스란히 내 마음에 남아 있죠.
혹시 요즘 감정이 자꾸 반복되고 있다면, ‘내 안에 감정 쓰레기통이 꽉 차 있는 건 아닐까?’라는 질문을 한 번 던져보세요. 그리고 아주 작게라도, 지금 그걸 조금씩 비워가는 연습을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마음을 정리하는 연습은, 결국 나 자신을 잘 돌보는 가장 기본적인 습관이니까요.
내가 생각하는 ‘나’는 진짜일까? 거울자아이론으로 본 심리학 이야기
거울을 보면 내 얼굴이 보입니다. 그런데 사람의 마음은 거울처럼 정확하게 비춰지지 않아요. 내가 생각하는 '나'와 타인이 바라보는 '나' 사이에는 종종 커다란 차이가 있죠.저는 예전에 "넌 되
yangtaeng.tistory.com

'사람과 사람 사이 – 말 한마디로 달라지는 관계 > 심리학으로 풀어보는 사회적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사람들은 나를 만만하게 볼까? – 착한 사람들의 심리학 (2) | 2025.04.04 |
---|---|
말보다 마음이 느려서 – 감정 표현이 어려운 사람들의 심리 (3) | 2025.04.03 |
읽씹, 차단, 언팔… 쉽게 관계 끊는 사람들의 심리적 이유 (1) | 2025.04.03 |
사람들이 무례하게 구는 진짜 이유 – 심리학적으로 보면? (1) | 2025.04.03 |
불안을 자주 느끼는 사람들의 공통점 6가지 – 심리학으로 보는 내 마음 (2)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