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장애 시리즈 (2편)성격 장애는 병일까? 성격일까?

2025. 2. 28. 12:10양탱 실험실

728x90
반응형

📌 성격 장애 시리즈 (2편)

성격 장애는 병일까? 성격일까?

성격 장애는 질병인가, 아니면 성격일 뿐인가?

 

DSM은 성격 장애를 정신 질환의 일부로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단순히 "성격의 극단적인 형태"라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역사적으로 유명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강한 자기애적 성향을 보였으며, 이는 그의 자신감과 결단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지만, 반면 독선적이고 충동적인 결정을 내리는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성격 장애의 원인은 무엇일까?

 

성격 장애는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형성됩니다.

  • 부모의 양육 방식: 지나치게 통제적인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는 강한 의존성을 보일 수 있으며, 반대로 방임 속에서 성장한 경우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이클 잭슨은 엄격한 아버지의 강압적인 교육 아래에서 성장하면서 극심한 불안과 자기애적 성향을 보였죠.
  • 어린 시절 트라우마: 심각한 정서적 학대나 부모의 이혼, 학교 폭력 등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하게 만들고, 이는 성격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마릴린 먼로는 불안정한 가정환경과 지속적인 정서적 학대로 인해 극단적인 감정 기복을 보였고, 이는 그녀의 대인관계와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사회적 환경: 사회적 고립, 불안정한 대인관계 경험은 특정 성격 장애를 악화시킬 수 있으며, 성장하는 문화적 배경도 영향을 줍니다. 짐 캐리는 어린 시절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며, 이후 극단적인 감정 표현과 불안정한 성격을 갖게 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회적 기준이 만든 병?

미국의 심리학자 토마스 사스(Tomas Szasz)는 성격 장애가 사회적 기준에 의해 정의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감독 스탠리 큐브릭은 완벽주의와 강박적인 성향 때문에 주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기도 했지만, 그 덕분에 독창적인 영화 스타일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하워드 휴즈(Howard Hughes)는 강박성 성격장애(OCPD)와 편집증적인 성향이 심해지면서 사회적 고립을 자초했습니다. 그는 극단적인 결벽증과 대인 기피증으로 인해 점점 더 사람들을 멀리했고, 결국 성공한 기업가였음에도 불구하고 말년에 극심한 외로움 속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결론

성격 장애는 단순한 질병이 아니라,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특성입니다. 중요한 것은 스스로를 이해하고, 어떻게 하면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입니다.

 

 

 

📢 다음 편 예고 👉 [3편] 성격 장애가 있어도 괜찮은 이유 (성격 장애를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법)

 

728x90
반응형